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골종양,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골종양의 대표적 질환은 골육종입니다. 골육종은 어떤 질환이며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드리겠습니다. 또한 관절염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이 대표적이며 2가지 질환의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소개드리겠습니다. 그럼 제 글이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1. 골육종 Osteosarcoma
- 침습성이 흔하고 다른 부위 (특히 폐)로 전이가 빠른 원발성 골암이다.
- 15~25세 젊은 층에게 호발 하며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 대퇴골과 경골 같은 장골의 골간단부에서 많이 발생한다.
* 증상
- 뼈 촉진 시 통증이 있으며 밤에 주로 통증이 발생한다.
- 국소적 종창과 덩어리가 만져지며 가동범위가 제한된다.
- 피로, 빈혈, 운동 감소가 나타난다.
* 치료
- 종양을 제거하고 폐 전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방사선 요법을 병행한다.
2.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 활막 관절 내의 결합조직의 염증 변화가 일어나는 만성적이고 전신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 여러 관절에 증상이 나타나며 중년의 여성에게서 호발 한다.
* 원인
- 유전적이며 감염과정에 의한 자가 면역 기전으로 나타난다.
* 증상
- 증상이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초기에는 피로, 통증, 미열이 나타난다.
- 강직, 운동 제한, 통증, 염증 증상이 나타난다.
- 조조강직 (아침에 강직 증상) : 1시간 이상 지속된다.
- 손목, 손의 변형이 일어나며 류마티스성 결절이 나타난다.
728x90
* 진단
- 류마티스 인자 : 자가항체, 특이도 약 70%로 확진하기는 어렵다.
- 활액 검사, 혈액검사,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 적혈구 침강속도 (ESR) : 증가
* 치료
- 약물요법 : 항류마티스제, 진통제, NSAIDs,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활막 절제술, 관절낭 절제술, 관절 고정술 등을 할 수 있다.
3. 퇴행성 골관절염
- 국소적 관절에 이차적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며 만성적이고 비염증성 질환이다.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것으로 비염증성이지만 뼈의 마찰 등으로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 노인에게서 호발 한다.
* 원인
- 관절 연골의 파열과 마모 : 외상, 기형, 약물, 기계적 스트레스 염증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 증상
- 비대칭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며 관절 부위의 통증이 휴식을 취하면 완화된다.
- 강직 : 아침, 오래 앉아있다 일어날 때, 대체로 15분 이내로 호전된다.
- 해버든 결절 : 손가락 관절의 골 증식이 일어난다.
- 뼈의 마찰음, 관절이 비대해지며 운동 제한이 나타난다.
* 진단
- 연령, 유병기간, 관절 침범의 양상, 염증의 유무, 방사선 소견을 종합해서 진단한다.
- 류마티스 인자 : 음성
* 치료
- 관절 성혈술이나 약물요법으로 치료한다.
728x90
728x90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상식] 급성 심근경색 (0) | 2019.07.01 |
---|---|
[의학상식] 고혈압 (Hypertension) (0) | 2019.06.29 |
[의학상식] 통증 간호 (0) | 2019.06.28 |
[의학상식] 척추 질환 (0) | 2019.06.26 |
[의학상식] 근골격계 장애 (0) | 2019.06.25 |
[의학상식] 구강의 건강문제 (0) | 2019.06.24 |
[의학상식] 암의 예방과 조기발견 (0) | 2019.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