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고혈압에 관하여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고혈압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며 고혈압은 평생가는 것이지만 생활습관의 교정으로만으로도 정상 혈압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제 글이 유익한 글이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고혈압 Hypertension
- 정의 :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이다.
- 대한고혈압학회의 정의
>> 정상 혈압 정의 : 수축기혈압이 120mmHg 미만이고 확장기혈압이 80mmHg 미만일 때이다.
>>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혈압이 120~139mmHg또는 확장기혈압이 80~89mm일 때이다.
* 병태생리
- 혈압을 안전하게 조절하여 순환 허탈 상태를 초래하지 않게 하는 5가지 조절기전이 있다.
1) 동맥압 수용체 체계
2) 수분량의 변화
3) 레닌-안지오텐신 체계
4) 혈관자가조절
5) 혈관내피
* 원인
- 본태성 고혈압 : 원발성 혹은 원인불명이다. 유전, 호르몬 변화, 교감신경을 반응으로 나타난다.
- 이차성 고혈압 : 신장의 원인 (만성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폐쇄성 비뇨기 질환 등), 부신과 내분비의 원인 (쿠싱증후군,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 갈색세포증, 갑상샘이나 부갑상샘 질환 등), 기타 (음주, 코카인, 뇌종양, 두부손상, 임신성 고혈압 등)의 원인으로 나타난다.
* 증상 및 징후
- 고혈압은 흔히 ‘침묵의 살인자’불리는 바와 같이 뇌, 심장, 콩팥을 포함한 종말 기관의 심한 손상이 발생될 때까지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 심한 고혈압 환자의 증상 : 피로, 호흡 곤란, 심계항진, 현훈, 협심증, 활동장애 등이 나타난다.
▶ 진행성이나 치료받고 있지 않는 고혈압 환자의 증상이 나타난다.
: 두통 (특히 이른 아침에 두통) , 눈이 침침해짐, 비출혈, 우울감이 나타난다.
▶ 종말기관의 손상으로 뇌병증, 콩팥기능상실, 좌심부전, 망막출혈을 유발된다.
* 협동적 관리
▶ 건강력
• 건강력을 조사하면서 고혈압에 관한 위험 인자를 파악해야한다.
• 자료수집은 연령, 가족력을 알아보고 음주 습관, 염분 섭취 정도, 흡연, 운동 습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 A형 성격 등을 확인한다.
• 신장이나 심혈관 질환의 과거 병력, 현재 병력, 현재 투여받고 있는 약물 등을 확인한다.
▶ 신체검진
• 두통, 부종, 야뇨증, 피로, 비출혈 및 시야변화 등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 혈압은 양팔에서 특정하여 자세에 따른 변화도 확인한다.
• 매 방문 시 2회 이상의 혈압을 측정하여 평균혈압을 확인한다.
* 생활습관 교정
▶ 생활습관 교정
혈압의 주기적 측정 : 혈압이 안정되면 3~6개월마다 위험수준의 확인
▶ 영양요법
-염분제한
-체중감소(비만의 감소)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음식 제한
-칼슘과 마그네슘의 적절한 섭취
▶ 신체활동(적절한 운동)
▶ 금연
▶ 음주조절
▶ 항고혈압 약물복용
* 항고혈압 약물의 종류
- 이뇨제
Thiazide 이뇨제
-Chlorothiazide(Diuril)
-Chlorhalidone(Hygroton)
- 칼륨보유 이뇨제
-Spironolactone(Aldactone)
-Triamterene(Dyrenium)
- Loop 이뇨제
-Furosemide(Lasix)
-Ethacrynic acid (Edecrin)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상식] 노화이론 (2) | 2019.07.03 |
---|---|
[의학상식] 노인인구 의 특성 및 노인간호 (0) | 2019.07.02 |
[의학상식] 급성 심근경색 (0) | 2019.07.01 |
[의학상식] 통증 간호 (0) | 2019.06.28 |
[의학상식] 골종양, 관절염(류마티스, 퇴행성) (0) | 2019.06.27 |
[의학상식] 척추 질환 (0) | 2019.06.26 |
[의학상식] 근골격계 장애 (0) | 2019.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