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의학상식] 백혈구 장애

by 자유로운 blog 2019. 6. 20.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지난번 적혈구 장애에 지어서 백혈구 장애에 관한 글을 쓰려고 합니다. 백혈구 장애에는 흔히 알고 있는 백혈병이 있고 그 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드릴까 합니다. 그럼 제 글이 유익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1. 백혈병

  • 골수, 림프, 비장 조직의 악성 종양으로 백혈구가 과잉 증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 신체 장기와 조직, 골수 및 말초혈액까지 침범하는 것이 특징이다.

 

* 급성 골수성 백혈병

  • 성인에게서 흔하며 모든 골수 세포의 장애가 특징이다.
  • 증상 : 감염증, 출혈, 빈혈, 뼈 통증, 적혈구와 혈소판의 감소 등의 증상이 있다.
  • 치료 : 수혈, 항암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방법으로 빠른 시간 내 백혈병 세포를 제거해야 한다. 격리가 필요하고 출혈을 예방해야 한다.
  • 예후 : 치료를 안 하면 2달 이내 사망하며 평균 생존기간은 1년 내외이다.

 

* 만성 골수성 백혈병

  • 20세 이전에 발생은 드물고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 느린 진행과 점진적인 발생이 특징이다.
  • 증상 : 무증상, 피로, 비종대, 흉골 압통, 야간발한, 현저한 백혈구 증가증의 증상이 나타난다.
  • 치료 : 항암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 예후 : 급성으로 변할 시 항암제에 반응을 안 하고 사망에 이르며, 평균 생존 기간은 3~4년이다.

 

* 급성 림프성 백혈병

  • 2~9세에 호발 하며 어린이 백혈병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 증상 : 골수의 lymphocytes의 증식, 간비대, 림프절 비대, 비장의 비대가 흔하며 중추신경계와 고환에 침범한다.
  • 치료 : 항암요법으로 치료한다.
  • 예후 : 절반의 어린이에서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 만성 림프성 백혈병

  • 60~80세 이상의 성인과 노인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며 경미한 증상을 보인다.
  • 증상 : 피로, 체중 감소, 발열, 식욕부진, 적혈구 및 혈소판 감소, 완화와 악화가 교대로 나타난다.
  • 치료 : 경하면 치료하지 않으며 심할 경우는 항암요법이 필요하다.
  • 예후 : 7~15년 이상의 생존기간이 가능하다.
728x90

2. 호중구 감소증

  • 호중구 수치가 < 1,500 (중증도 위험 < 1,000 고위험 < 500) 이하이다. 호중구는 면역 수치를 의미한다.
  • 호중구 수치가 감소하면 감염률이 증가하기에 면역에 주의해야 한다.

 

* 원인

  • 약물 : 항생제, 항암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다.
  • 혈액질환 : 백혈병, 혈액암, 악성 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등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다.
  • 자가면역질환 : 류마티스성 관절염, SLE 등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다.
  • 심한 감염 등의 여러 이유로 생긴다.

 

* 증상

  • 감염 취약 : 작열감, 미열, 권태감, 빈뇨, 두통, 식욕부진, 구강 점막의 궤양,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화농성 반응은 드물다.

 

* 진단

  • 호중구 수 1,500 이하, 무과립구증 200 이하인지를 보며, 골수 검사를 통해서 과립구의 감소, 골수성 원시세포의 증가를 보고 진단한다.

 

* 치료

  • 호중구 감소를 초래하는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 감염 시 원인균을 확인하고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 에방 및 치료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 조혈 성장인자를 투여한다.
  • 보호적 격리를 통해 감염에 예방한다.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