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적혈구 장애에 관련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적혈구 장애에는 대표적으로 빈혈이 있습니다. 빈혈에도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질환의 원인, 증상 등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제 글이 유익한 글이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도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빈혈 Anemia
- 적혈구 수, 적혈구 용적비 (Hct), 혈색소 (Hb) 수준이 정상보다 낮은 상태이다.
- 순환 적혈구의 양이 조직 내의 산소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한 만큼 감소된 상태이다.
728x90
* 증상
- 경한 빈혈 (Hb : g/dL) :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운동 및 활동 후에 심계항진, 호흡곤란, 심한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중등도 빈혈 (Hb : g/dL) : 운동이나 활동 후에 심한 발한, 만성적 피로, 심계 항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심한 빈혈 (Hb : g/dL) : 신체의 모든 장기의 빈혈이 나타나고 심장합병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재생분량성 빈혈
- 골수에 적혈구 전구체가 부족해서 생기는 빈혈 : 골수의 손상이나 감염, 종양 때문에 생긴다.
- 골수의 조혈 조직이 감소되어서 전혈구 감소증이 발생한다.
- 원인
- 원인은 다양하고 발병기전에 의한 조혈모세포의 손상이나 발현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 50~70%는 명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다.
- 약품, 바이러스, 세균감염, 화학물질 등의 원인으로 생겼을 것이라 예상하기도 한다.
- 증상
- 출혈증상 (자반증) : 초기증상 (코피, 쉽게 멍이 듦, 점상 출혈, 잇몸 출혈 등)
- 빈혈 : 피로, 창백한 아색, 쇠약, 운동 시 호흡곤란 등
- 초기에는 드물지만 발열, 염증 등 감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진단
- 골수검사에서 저세포충실도 검사와 망상 적혈구 수의 감소가 있는지 본다.
- 치료
- 조혈모세포 이식 : 45세 이전의 수혈을 받지 않았던 젊은 환자에게서 효과가 좋다.
- 골수기능을 위축시키는 약품이나 화학제품 등의 사용을 중단한다.
-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장기 생존이 가능하다 (출혈 및 감염 예방, 고비타민, 고단백질 식이 섭취 등)
728x90
* 철결핍성 빈혈
- 체내에 저장된 철이 정상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양보다 감소하게 된 경우에 발생한다. 적혈구 생성에 장애가 오려면 그전에 저장철의 결핍이 우선되어야 한다.
- 원인
- 철분 요구량 증가 : 유아, 사춘기, 임신 중인 여성의 경우 요구량이 증가하여 생길 수 있다.
- 영양부족 : 흡수장애, 섭취부족, 만성 감염성 질환자, 채식주의자 등의 경우 영양부족으로 생길 수 있다.
- 혈액의 손실 : 월경 과다, 만성 위장관 내 출혈 등의 원인으로 생길 수 있다.
- 증상
- 두통, 심계항진, 피로, 창백, 입술의 염증, 설염, 허약, 권태감,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숟가락 모양의 손톱, 이식증 (음식이 아닌 것을 먹고자 하는 충동)
- 진단
- 혈청 ferritin 12g/dL 이하로 감소, 말초혈액 MCV의 감소 등을 보고 진단한다.
- 치료
- 철분 투여 : 공복 시 투여가 효과적, 액체의 경우 빨대 사용(치아 변색 방지), 비타민 C 섭취(철분의 흡수를 도와준다.),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고섬유 식이를 권장한다.
- 가임기 여성, 임신 중 철분 섭취를 권장한다.
- 철분 함유 음식 : 간, 콩, 육류, 달걀 노른자, 당근 등이 있다.
- 심할 경우 철분제제를 투약할 수 있다.
* 악성빈혈
- 위선분비에서 내적 인자의 결핍으로 비타만 B12의 흡수 불량으로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 원인
- 무위산증, 위절제술 등으로 인하여 내인자 생산량이 줄어 비타만 B12의 분리가 줄어들어 생긴다
- H2 수용체 길항체의 장기 사용자 (예, 시멘트린) : 내적 인자의 결핍이 발생하여 생길 수 있다.
- 증상
- 신경계 : 허약감, 지각이상, 운동실조, 보행장애, 평형감각과 위치 감각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위장계 :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대혈구성 빈혈에 의한 조직의 저산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 진단
- 전혈구 검사 : 적혈구, Hct, 혈색소의 감소가 있다.
- 쉴링 테스트 양성 : 비타민 B12의 흡수 정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악성 빈혈의 진단으로 사용된다.
- 치료
-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와 낙상 등을 예방해야 한다.
- 비타민 B12 투여 : 경구 투여 시 위에서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근육주사로 투여해야 한다.
- 피부 통합성 유지 : 열과 통증에 대한 감각이 둔해지기에 화상, 욕창 등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728x90
728x90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상식] 구강의 건강문제 (0) | 2019.06.24 |
---|---|
[의학상식] 암의 예방과 조기발견 (0) | 2019.06.21 |
[의학상식] 백혈구 장애 (0) | 2019.06.20 |
[의학상식] 종양간호 2탄 (0) | 2019.06.11 |
[의학상식] 종양 간호 1탄 (2) | 2019.06.09 |
[의학상식] 간, 담낭, 췌장 질환 식이요법 (0) | 2019.06.06 |
[의학상식] 간 질환 (지방간) (0) | 2019.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