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담낭, 췌장 질환 식이 요법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한국의 음주문화, 만성 C형, B 형 간염 환자 많음, 지방간의 위험성 인지 부족, 알코올 중독 환자들의 간경화로 입원치료하는 등의 여러 이유로 이런 주제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논문을 토대로 조사를 하다보니 지방간에 팥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많아 팥의 효능에 관해서도 글을 작성하려고합니다. 그럼 오늘도 제 글이 유익한 글이 되기를 바라며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방간의 정의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한다.
◆ 원인
1.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가 지방간 위험을 높이는 과정
탄수화물 과다섭취 → 탄수화물 분해하여 일부는 에너지로 소모하고 → 나머지는 지방의 형태로 체내에 그대로 저장 → 이런 과정을 통해 지방간 수치 증가
2. 알코올의 과다 섭취가 지방간 위험을 높이는 과정
알코올 과다섭취 → 알코올을 에너지를 우선 소모 → 함께 섭취한 지방 및 탄수화물이 체내에 축적 → 일부 알코올이 지방으로 전환 → 이런 과정을 통해 지방간 수치 증가
◆ 알코올성 지방간
1.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지방 합성이 촉진되어 간에 축적되어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된다.
2. 간의 과도한 지방으로 인해 간세포 괴사로 염증이 생기며 일부는 만성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발전 한다.
◆ 식이요법
¢ 식사를 거르지 말고 규칙적으로 한다.
¢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 살코기, 생선, 콩, 두부, 계란 등 양질의 단백질을 간의 회복을 위해 적당히 섭취해야하나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기름진 육류 (갈비, 삼겹살 등)는 피한다.
¢ 밥, 빵, 국수, 감자 등의 당질식품은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 단 음식 (사탕, 초콜렛, 꿀, 아이스크림, 탄산음료)은 당분과 열량이 많으므로 자주 먹지 않도록 한다.
¢ 과량의 알콜 섭취는 지방간을 악화시키며 영양불량을 초래한다.
¢ 조리시에는 튀김, 전 보다는 구이, 조림, 찜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팥의 효능
1. 비타민 B1
¢ 100g에 티아민(비타민B1)은 하루 권장량의 약 30%, 리보플라빈(B2), 니아신(B3)는 각각13%, 판토텐산(B5) 15%, 피리독신(B6) 18%, 엽산(B9)은 약 156%가 함유되어 있다.
¢ 탄수화물, 당질의 적절한 대사를 촉진시켜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만들도록 돕는다.
¢ 지방을 분해하고 신진대사를 활발 하게 해주어 간의 피로회복을 도와준다.
2. 사포닌
¢ 팥을 끓일 때 하얀색 거품성분
¢ 팥의 사포닌 성분은 장의 융모가 커지는 것을 억제시켜(융모가 커지면 음식의 흡수력이 향상되어 비만을 일으킴) 비만이 되는 것을 막아준다.
¢ 식독, 수독, 혈독 등 뼛속까지 밴 모든 독을 빼내는 해독 역할을 한다.
¢ 이뇨작용에 뛰어나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과 노폐물을 배출 시켜 준다.
¢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 한다.
3. 안토시아닌
¢ 팥 껍질의 붉은빛을 띄는 천연색소
¢ 체내에 유해한 활성산소제거
¢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며, 대사증후군을 예방한다.
¢ 한 연구에서 쥐에게 안토시아닌을 섞은 고지방 먹이를 준 결과 지방의 합성이 저하되며, 내장 지방 및 혈액에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유기산
¢ 산성을 띠는 유기화합물을 일컫는 것으로 몸 속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에너지 방출을 도우며 노폐물을 배출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 팥의 단점 및 주의점
¢ 팥은 섬유가 많고 조직이 단단하기 때문에 물과 함께 오래 삶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쉽게 삶기 위해 식용소다를 소량 넣고 끓이게 될 경우 알칼리성분인 식용소다로 인해 비타민 B1이 파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팥을 과다 섭취하게 될 경우 사포닌 성분으로 인해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 한의학적으로 팥은 찬 성질에 속하며, 평소 몸이 차가운 편이면 소량만 섭취하여야 한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상식] 종양간호 2탄 (0) | 2019.06.11 |
---|---|
[의학상식] 종양 간호 1탄 (2) | 2019.06.09 |
[의학상식] 간, 담낭, 췌장 질환 식이요법 (0) | 2019.06.06 |
[의학상식] 신부전증 -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0) | 2019.05.30 |
[의학상식] 당뇨병, 당뇨에 좋은 양파의 효능 (0) | 2019.05.29 |
[의학상식] 종양내과 간호사가 알려주는 의학용어 (0) | 2019.05.29 |
[의학상식] 고지방 저탄화물 식이 (2) | 2019.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