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의학상식] 노화이론

자유로운 blog 2019. 7. 3. 21:50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노화이론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요즘은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에 대한 건강, 특징 등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지난번 글에 이어서 노화이론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제 글이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라며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1. 생물학적 이론

A. 초기 생물학적 이론

     초기 노화이론 : 이론적, 철학적 면에 기초이다.

  1) 그리스인이 최초로 노화 원인 탐색

      (1) Hippocrates : 체온의 감소

      (2) Galen : Dryness & Coldness → 체액 변화 → 일생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2) Maimonides(12C말 유태인 철학자) : 생은 미리 결정 → 예방 시 생명 연장 가능하다.

      Bacon(13C) : 삶의 소모결과소모 결과로 규정하였다.

  3) Leonardo Da Vinci : 생리적 변화 최초 규명: 부검

  4) Darwin : 신경, 근육의 불안정성 증가 → 신체는 자극에 무반응한다.

  5) Minot(1900년대 초) : 사망률 연구 (통계학적)

           Auto-intoxification(자가중독설)

           Wear & Tear(소모 이론)

  6) 1920-1930년경 : 노화과정의 생물학적 이론을 연구했다.

 

B. 최근의 생물학적 이론

 1) Biological Aging Theories

 (1) Error Accumulation Theories(오류 축적 이론)

      - 생태학적 돌연변이

      - 돌연변이 → 방사선에 의해 생성

      - 죽을 때까지 지속

 (2) Genetic program theories(유전적 프로그램 이론)

      - 유전자 → 인간의 발달과정, 노화과정 프로그램화

         ex) 연령별 동일 종의 생물 → 동일 발달단계

         cf) 쌍둥이의 수명 차이

 (3) Wear and Tear theories(소모 & 마모 이론)

      - 계속적인 신체 사용;  소모, 마모 → 사망

      - 비판 : 인간의 자가 보수 능력 →  발달

 (4) Error Catastrophe Hypothesis (오류 파멸 이론)

      - Messenger RNA 오류 → DNA 생성에 오류

         ex) 방사선 → 염색체 손상의 주요 요인

 (5) Lipofusin축적 이론(지방 갈색소 : 피부에 침착하는 해모푸스신)

     ex) Alzheeimers Disease 환자

 (6) 교차 연결 이론(Cross-Linkage Theory)

     - DNA이중나선(Double helix)에 교차 연결 DNA분열에 방해 → 세포 사망

    ex) Connective tissue의 노화현상

 (7) 면역 이론(Immunological Theory)

      - 부적절, 저하된 면역 반응 → 노화과정 산출 세포 파괴세포변화

         ex) 노년기 자가 면역 질환 증가, 발생

  (8) Hormone and Enzyme Theories

      - Hypothalamus, pituitary → 노화와 관련

728x90

2. 사회이론

1) 사회 유리 이론(Disengagement theory)

   (1) 이론가: Cumming & Henry(1961)

   (2) 기전사회 → 노화된 개인 배제 / 개인(노인) → 사회로부터 탈출     

   (3) 이론의 전제조건

         - 발생 과정: 점진적

         - 피할 수 없는 과정

         - 노인과 사회 상호에게 만족을 주는 과정

         - 모든 사회적 조직에 나타나는 현상

         - 사회적 표준(norm)

    (4) 수정 유리 이론 (Henry:1965) 성격발달이론의 기틀에서 설명

         - 사회적 행동장기간 개인에 형성된 성격의 결과

         - 노년의 일 지속 여부개인 일생 발달과업 결과

2) 활동 이론(Activity Theory)

    - 노후의 생활 만족 → 적절한 사회활동 시 가능

    - 이론의 명제

       사회적 활동:  역할 수행에 필수적

       역할 수행:  긍정적인 자아개념 유지에 필수적

       다양한 역할 자 : 긍정적인 자아개념 재인 기회

       다양한 사회 참여자 : 사기와 삶의 만족, 개인의 적응정신건강  양호

3) 지속 이론(Contineuity theory)

 (1) 이론가: Harvighurst 등(1969)

      - 노인 적응의 중요 요소 : 대처능력, 이전의 역할 및 활동 => 계속성을 유지하는 능력

 (2) 인격 양상과 대처능력

    통합된 인격 : 성숙하고 행복하다고 느낌, 다양한 활동 수준을 갖는 인격

    방어적 인격: 중년의 가치와 규범을 유지, 상실에 의해 억압받는 인격

    수동적 의존형 인격 : 높은 의존 요구를 갖거나 무관심한 인격

    비 통합된 인격 : 정신적 질환을 보이는 인격

728x90
728x90
댓글수2